연극
엔들링스 Endlings
두산인문극장 2025: 지역 LOCAL
2025.05.20 ~ 2025.06.07Space111
* 패키지티켓 선예매: 4.22(화) 오후 4시
* 장애인 관객 선예매: 4.23(수) 오후 4시
* 일반 예매: 4.24(목) 오후 4시
화수목금 7시 30분 / 토일 3시
*6.6(금) 3시
정가 35,000원
13세 이상 관람가 (2012년생 포함 이전 출생자 관람 가능)
100분(예정)
접근성 사항
한글자막해설/사전 음성소개/휠체어석/안내보행/문자소통: 전체 회차
터치투어: 6.5(목), 6.6(금), 6.7(토) (3회)
*안내보행 및 터치투어는 접근성 매니저를 통해 사전 신청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접근성 사항' 탭을 확인해주세요
관객과의 대화
1) 5.24(토) 3시 공연 종료 후
이래은(연출가), 전서아(윤색 작가), 김지혜(드라마터그), 진행 남윤일(프로듀서)
2) 5.31(토) 3시 공연 종료 후 -문자 통역 진행
경지은 박옥출 백소정 양대은 이미라 이훤 홍윤희(배우), 진행 이래은(연출가)
실황 영상 촬영
5.22(목) 7시 30분 공연
해당 일시에 공연 실황 영상 촬영이 진행됩니다
공연 관람 및 예매 시 참고 부탁드립니다
예매 가능 시간: 공연 시작 2시간 전까지
문의 : 두산아트센터 02-708-5001
엔들링스 Endlings
<엔들링스>는 <패스트 라이브즈>로 다수의 영화상을 수상한 영화감독 겸 극작가 셀린 송(Celine Song)의 대표작이다. ‘엔들링(Endling)’은 한 종(種)의 마지막 생존 개체를 의미한다. 작품은 한국에 살고 있는 노년 해녀들과 지구 반대편 미국에 살고 있는 극작가 하영의 이야기를 교차로 보여준다. 해녀들은 ‘이곳’을 떠나지 않고 고유한 삶의 방식으로 살아가지만 그 삶을 이어갈 후계자는 없다. 하영은 ‘이곳’으로 떠나왔지만 어디에도 소속되지 못한 채 흔들리는 삶이 불안하다. <엔들링스>는 우리가 살아가는 이곳에서 인간과 지역의 다양한 정체성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때로는 충돌하며 삶을 형성하는지 보여준다.
시놉시스
남도의 작은 섬 ‘아일랜드오브만재’에는 세상의 마지막 해녀인 할머니 세 사람이 살고 있다. 하루 종일 물질하고 해변에서 수다 떨다 밤이 되면 테레비를 켜두고 잠 못 드는 몸과 마음을 달랜다. 지구 반대편 ‘맨하탄섬’에도 잠 못 드는 누군가가 있다. 한국계 캐나다인 극작가 하영은 백인들로 가득한 미국 연극계에서 살아 남기 위해 분투 중이다. 어느 늦은 밤, 해녀 할머니들이 켜 둔 테레비의 어두운 빛 속에서 하영이 유령처럼 나타난다. 하영은 다짜고짜 관객에게 말을 걸기 시작하는데…

*사진 출처 Matthew Dunivan (2024)
작 셀린 송 Celine Song
연극 < Endlings > < Tom & Eliza > < Family > 외
영화 < Materialists > < Past Lives >
수상
2024 미국 아카데미상 작품상, 각본상 후보 < Past Lives >
2024 필름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즈 최우수 장편영화상, 감독상 < Past Lives >
2024 미국감독조합 신인감독상 < Past Lives >
2023 고담 어워드 최우수 작품상 < Past Lives > 외

연출 이래은
달과아이 작∙연출가
연극 <이것은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는 적당히 가까워> <서울 도심 개천에서도 작은발톱수달이 이따금 목격되곤 합니다>
<김이박이 고등학교에 입학할 때 김이박이 고등학교에 입학한다> <초록빛 목소리> <고양이가 말했어> 외
수상
2022 제59회 동아연극상 작품상, 연출상 <서울 도심의 개천에서도 작은발톱수달이 이따금 목격되곤 합니다>
2006 제15회 서울어린이연극상 최우수작품상, 연출상, 연기상 <고양이가 말했어>
지역 투어 일정 안내
대전예술의전당 (대전예술의전당 앙상블홀)
2025.6.13-6.14
금 7시 30분 토 3시, 7시
제주아트센터
2025.6.27-6.28
금 7시 30분 토 3시
기획/제작 두산아트센터 대전예술의전당 제주아트센터
작 셀린 송(Celine Song)
번역 조은정 임지윤(PIC)
연출 이래은
드라마터그 김지혜
윤색 전서아 *윤색 대본은 연습 과정에 사용됨
출연 경지은 박옥출 백소정 양대은 이미라 이훤 홍윤희
조연출 김태령 이은채
프로덕션 무대감독 이효진
무대/소품디자인 장호
무대제작 에스테이지(s_TAGe, 대표 이윤중)
제작팀장 정우상
제작팀 김세진 권오준 이종민 차승호 정우근 임대환 정재현 박호준 이승윤
작화팀 작화공간
작화팀장 이남련
작화팀 박지원 이재형 김유진 김용선 이정민
소품제작 아이엠(im)
조명디자인 신동선
조명어시스턴트 김은빈
조명오퍼레이터 전현식
조명팀 전현식 홍주희 홍유진 원종욱 허정현
음악/음향디자인 임서진
음향/영상오퍼레이터 김태령
영상디자인 박영민
텍스트/자막해설 디자인 이청
텍스트/자막해설 오퍼레이터 이수림
영상제작 앨리스 스튜디오 프로젝트 (대표 방지현)
의상 디자인 김미나
의상제작 코스튬스토리
의상 어시스턴트 백송이
분장디자인 장경숙
인형/오브제 제작 문재희
움직임 디자인 이윤정
액팅 코치 장재키
사투리 지도 손혜정
코미디 워크숍 김진아 안담
무대 크루 정지아
접근성 기획/운영 플랫폼안녕(대표 이청)
접근성매니저 이청
터치투어 제작/운영 이청
투어 프로덕션 운영 아트팟 (대표 오득영)
투어 프로덕션 매니저 김명주
투어 프로덕션 무대감독 이지혜
*ENDLINGS had its Off-Broadway Premiere at New York Theatre Workshop,
Jim Nicola, Artistic Director, Jeremy Blocker, Managing Director, 2020
World Premiere of Endlings was produced by American Repertory Theater
Diane Paulus, Artistic Director Diane Borger, Executive Producer
*Endlings was developed during a residency at the Eugene O’Neill Theater Center’s
National Playwrights Conference 2018
Preston Whiteway Wendy C. Goldberg
Executive Director Artistic Director
*Endlings was developed as part of The Playwrights Realm’s Writing Fellowship
(Katherine Kovner, Founding Artistic Director Robert Pereira, Producing Director)

홍윤희 | 한솔 역
연극 <동백당; 빵집의 사람들> <목련풍선> <즐거운 우리집> <댄스 네이션> <얇은 경계> <양갈래머리와 아이엠에프> <장마> <환희 물집 화상>
<메리제인> <가옥의 원> <단지 세상의 끝> <빌미> <광주리이고 가시네요 또> 외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 <디셈버> <사춘기> <나인> <메노포즈> <지킬 앤 하이드> 외
영화 <전,란> <큰엄마의 미친봉고> <60일의 썸머> 외
수상 2023 제8회 임홍식배우상

박옥출 | 고민 역
연극 <멸망의 로맨스> <심청전을 짓다> <금조 이야기> <시간의 난극> <키스> <비온새 라이브> <꽃가마> <전화벨이 울린다> <소녀>
<머리를 내어놓아라> <갈매기B> <바냐아저씨> <오아시스 세탁소 습격사건> <숙영낭자전을 읽다> 외
드라마 <정숙한 세일즈> <아라문의 검> <힙하게>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아> 외
영화 <싱크홀> <아이> 외
수상 2022 제43회 서울연극제 연기상 <심청전을 짓다>

이미라 | 순자 역
연극 <로켓 캔디> <기억들의 무덤> <대리된 존엄> <외국인들> <댄스 네이션> <불안 속의 운동> <나는, 거위> <어딘가, 반짝> <다섯 소년들>
<서울 도심의 개천에서도 작은발톱수달이 이따금 목격되곤 합니다> 외
음악극 <빨간풍선>
영화 <시바, 인생을 던져> 외
수상
2022 제30회 서울어린이연극상 연기상 <어딘가, 반짝>
2021 신춘문예 단막극전 연기상 <사탄동맹>

백소정 | 하영 역
연극 <유원> <기억들의 무덤> <맥베스> <이것은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스고파라갈> <부유한 극장> <여기, 한때, 가가>
<서울 도심의 개천에서도 작은발톱수달이 이따금 목격되곤 합니다> 외

이훤 | 백인 남편 ∙ 백인 무대감독 역
시집 『양눈잡이』 『우리 너무 절박해지지 말아요』 외
시-산문집 『청년이 시를 믿게 하였다』
산문집 『고상하고 천박하게』 『눈에 덜 띄는』 『아무튼, 당근마켓』 외
전시 < Tell Them I Said Hello > < We Meet in the Past Tense > < Home Is Everywhere And Often Nowhere > 외
사진 『정확한 사랑의 실험』 『벨 자』 『끝내주는 인생』

경지은 | 백인 무대감독 역
연극 <연차대전> <실수하고 살 수도> <한 방울의 내가> <새빨간 스피도> <이것은 사랑이야기가 아니다> <쿨링 다운> <즐거운 너의 집>
<서울 도심의 개천에서도 작은발톱수달이 이따금 목격되곤 합니다> <어디로 갈지 ㅁ> 외
무용 < Social Sensorial Collectiveness >

양대은 | 백인 무대감독 역
연극 <고구마동동> <김치찌개 웨스턴: 밥주걱과 45구경 권총의 결투> <포비아 포비아> <타임스퀘어>
<대리된 존엄> <물고기로 죽기> <스고파라갈> <어디로 갈지 ㅁ> <툭> 외
전체 회차에 한글자막해설, 사전 음성소개, 안내보행, 휠체어석, 문자소통을 운영합니다.
일부 회차에 터치투어가 있습니다.
*연극 <엔들링스>에는 접근성 매니저가 있습니다. 접근성 매니저는 보다 편히 접근할 수 있는 공연을 제작·진행하기 위해 관객, 제작진과 소통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아래 내용 외 다른 접근성 문의가 있으신 경우 접근성 매니저에게 연락 부탁드립니다. 관람 환경에 있어 가장 편안한 방법을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 접근성매니저
- 010-7285-2024, 음성통화 및 문자 가능
- 운영일정: 4.23(수)~6.7(토)
- 운영시간: 화수목금토일 오후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
① 한글자막해설
- 전체 회차
- 전체 공연의 대사와 그림, 기호 등이 포함된 한글자막 해설이 있습니다.
② 터치투어
- 6.5(목), 6.6(금), 6.7(토) / 3회
- 관람 전 무대에서 접근성 매니저와 함께 무대를 직접 만지고 작품 소개를 듣습니다.
- 사전 신청을 통해 진행됩니다.
▲ 접근성매니저(연락처 010-7285-2024) 전화 또는 문자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③ 사전 음성소개(추후 공개)
- 관람 전 공연과 관련된 시각적 요소와 작품 소개를 음성으로 안내합니다.
- 전체 공연 기간 동안 유튜브 링크를 통해 음성과 자막이 포함된 영상으로 만나 보실 수 있습니다.
④ 안내보행
- 전체 공연 기간 동안 사전 신청을 통해 진행됩니다.
- 관람 전후, 공연장과 지하철 역까지 안내원과 함께 이동합니다. (두산아트센터 1호선 종로5가 지하철역 왕복)
- 관람 전후 안내 가능하며 사전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 두산아트센터 02-708-5001
⑤ 문자소통(필담)
- 전체 공연 기간 동안 공연장 로비에서 필담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 공연 소개, 공연 시간, 티켓 구매 및 수령, 관람 방법, 프로그램북 구매 등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태블릿 PC를 통해 문자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
⑥ 휠체어석 (휠체어 이용 관객 접근성 안내 영상 클릭)
- 전체 공연 기간 동안 휠체어석이 있습니다.
- 휠체어를 사용 중이거나 휠체어 추가 사용이 필요한 관객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객석 1열의 좌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사전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장애인 당사자 관객 또는 동반인 관객 대상 전화 및 문자 예매 안내]
장애인 당사자 관객 또는 동반인 관객 등에 한하여 온라인 예매 외에도 접근성 매니저를 통한 전화 예매와 문의가 가능합니다.
접근성 매니저 (연락처 010-7285-2024, 문자/전화 가능, 화수목금토일 오후 12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 전화연결이 안 될 경우 문자 남겨 주시면 회신 드리겠습니다.)
손말이음센터 이용 안내
청각·언어장애인이 전화 통화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실시간 통신중계서비스입니다.
- PC 이용
홈페이지(https://107.relaycall.or.kr)에 접속하여 영상중계서비스 연결 버튼을 누르고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 입력 후 이용
- 휴대전화 및 인터넷 영상전화기 이용
국번없이 107 영상통화가 연결되면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 후 이용
이용방법 자세히 보기(클릭)
문의
두산아트센터 02-708-5001
접근성 매니저 010-7285-2024
홈페이지 www.doosanartcenter.com
이메일 webmaster@doosanartcenter.com
카카오톡 두산아트센터 채널 바로가기(클릭)
두산인문극장
두산인문극장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사회학적, 인문학적, 예술적 상상력이 만나는 자리로 매년 주제를 정하여 그와 관련한 공연, 전시, 강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한다.
2025 지역 LOCAL
2024 권리 Rights
2023 Age, Age, Age 나이, 세대, 시대
2022 공정 Fairness
2020 푸드 FOOD
2019 아파트 Apartment Nation
2018 이타주의자 Altruist
2017 갈등 Conflict
2016 모험 New Imagination on the Extended Territory
2015 예외 例外 Exception, Mutation, or Abnormality on the Borders
2014 불신시대 The Age of Distrust
2013 빅 히스토리: 빅뱅에서 빅데이터까지 Big History From Big Bang to Big Data
두산인문극장 2025: 지역 LOCAL
"당신의 지역(LOCAL)은 어디인가요?"
우리가 ‘지역’이라고 부르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지역은 보통 경계가 나뉘어진 물리적 공간으로만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단순한 지리적 구분만이 지역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지역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기억, 관계, 문화가 축적될 때에도 형성된다. 우리가 지역을 경험하고 기억하는 방식에 따라 소속감을 느끼는 모든 장소와 공동체가 지역(LOCAL)이 될 수 있다. 2025년 두산인문극장은 ‘지역’을 다양한 방향에서 이야기하며 우리 사회가 마주한 지역의 모습을 함께 들여다본다.
지역 LOCAL
‘지역’은 지리적인 면에서 다른 곳과는 구별되는 지표상의 공간적 범위를 말한다. 다양한 자연환경과 인문 환경으로 구성되고 그곳만의 고유한 성격인 지역성을 갖는다. 고유한 성격은 인간과 자연 간 상호작용의 결과이며 다른 지역에 형성된 성격과 상호작용 하기도 한다. 교통이 발달하기 전에는 거리가 가까운 지역 사이에서만 작용이 활발했지만 이제는 거리가 먼 곳들 사이의 교류도 늘어나고 있다.
지역의 문제는 ‘다름’이 아닌 ‘쏠림’ 때문에 일어난다. 지역이라는 말은 원래 치우침이 없는 말이지만, ‘쏠림’ 때문에 중심에서 벗어났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중심에서 벗어난 것이 소외나 차별, 심지어 소멸이라는 현상과 연결되어 대표적인 불평등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인류가 탄생해서 이동을 시작하면서 지역이 만들어진 300만 년 전부터 지금까지 끊임없이 변화해 온 지역을 인류학, 지리학, 생물학, 경제학, 사회학 등 다양한 관점으로 들여다본다. 우리가 지역의 중심을 잡고 전체가 조화로운 상태를 만들 수 있는지 고민한다.
공연 @두산아트센터 Space111
일정 |
공연 |
창작자 |
4.22 — 5.10 |
생추어리 시티 Sanctuary City
▶ 공연정보 바로가기
|
작 마티나 마이옥(Martyna Majok)
번역 유은주
윤색 유은주 이오진
연출 이오진
출연 이주영 김의태 아마르볼드 |
5.20 — 6.7 |
엔들링스 Endlings
▶ 공연정보 바로가기
|
작 셀린 송(Celine Song)
번역 조은정 임지윤(PIC)
연출 이래은
드라마터그 김지혜
출연 경지은 박옥출 백소정 양대은 이미라 이훤 홍윤희 |
6.17 — 7.5 |
광장시장
▶ 공연정보 바로가기
|
작 윤미현
작곡∙음악감독 나실인
연출 이소영
출연 강정임 박현철 송석근 윤현길 이지현 정대진 |
전시 @두산갤러리
일정 |
전시 |
작가 |
6.4 – 7.12 |
Ringing Saga
▶ 전시 정보 바로가기
|
구동희 Donghee Koo, 김보경 Bokyung Kim,
안진선 Jinseon Ahn, 이유성 Eusung Lee,
홍이현숙 HongLee, Hyunsook
|
강연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일정 |
강연 |
강사 |
4.7 |
1만 년의 고독: 인류의 이동과 지역의 탄생 |
윤신영 (과학기자, 《에피》 편집위원) |
4.14 |
조선 후기 국토의 발견과 살 곳의 모색 |
안대회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
4.21 |
지역과 우리, 나의 영토성: 이주와 정체성 |
신혜란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
4.28 |
저출산, 설명할 수 없는 명백한 현상 |
임동근 (도시지리학자, 한국교원대학교 연구원) |
6.9 |
로컬푸드와 장소 정체성 |
박찬일 (요리사, 음식 칼럼니스트) |
6.16 |
지역 청년이 겪는 수도권 바깥에서 먹고 살기 |
양승훈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6.23 |
서울 공화국이냐 균형발전이냐 |
이정우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명예교수) |
6.30 |
‘지방소멸’의 시간들 |
조문영 (연세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
예약 정보
예약: 두산아트센터 홈페이지 www.doosanartcenter.com (무료회원가입, 수수료없음)
공연: 유료, 정가 35,000원, 두산아트센터 회원 28,000원
예술인 21,000원, 장애인/13-24세/60대 이상 17,500원
전시: 무료, 별도 예약없이 관람 가능
강연: 무료, 선착순 사전 마감
*공연, 전시, 강연 모든 장소에 휠체어 이용이 가능합니다.
유의사항
- 예매티켓 수령 및 현장구매는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 공연장 내에서는 휴대폰 전원을 꺼주시기 바랍니다.
- 공연 시작 후에는 객석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공연장 내에서는 꽃다발 증정,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음식물 반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주차장 이용 안내
- 이용시간: 오전 6시 ~ 오후 11시
- 주차공간: 지하 2층 ~ 지하 5층, 150여대
- 주차요금: 당일 관람 고객에 한해 4시간 5,000원 주차 할인권 제공, 4시간 초과 시 10분당 1,000원
티켓 예매자는 본 안내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숙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취소 수수료
두산아트센터에서 예매 시, 취소일자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취소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예매일 기준보다 관람일 기준이 우선 적용됩니다.
단, 예매 당일 밤 12시 이전 취소 시에는 취소수수료가 없으며, 예매수수료도 환불됩니다.(취소기한 내에 한함)
취소일 |
취소 수수료 |
취소 방법 |
예매 후 24시간 이내 취소 시 |
없음 |
홈페이지-마이페이지-예매내역에서 직접 취소
*관람 1일 전 오후 5시까지, 단 토요일은 오전 11시까지 가능
이후 기간은 전화 문의만 가능 |
관람일 10일전까지 |
없음 |
관람일 9~1일전까지 |
티켓금액의 10% 공제 후 환급 |
관람 당일 공연 시작 직전까지 |
티켓금액의 90% 공제 후 환급 |
전화 문의만 가능, 직접 취소 불가 |
* 온라인 취소 마감기한 이후 취소를 원할 경우 두산아트센터(02-708-5001)로 전화 문의
환불 및 변경
- 예매 변경을 원할 경우, 예매티켓 취소 후 재예매(취소 시, 두산아트센터 환불수수료 적용)
- 입장권 환불은 티켓 예매시 선택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 가능
예) 신용카드로 예매한 경우 : 카드로 환불 가능, 가상계좌로 예매한 경우 : 환불일로부터 7~15일이내 고객 지정계좌로 이체 수수료 제외 후 환불
- 두산아트센터 티켓 이외의 외부 예매처나 공연기획사에서 예매한 티켓은 직접 예매한 곳으로 환불 및 변경 절차 문의
- 초대권 환불 불가
-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시, 환불 불가
관련컨텐츠
광장시장
뮤지컬
광장시장
2025.06.17 ~ 2025.07.05
Ringing Saga
생추어리 시티 Sanctuary Ci...
두산인문극장 2025: 지역 LO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