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현재/다음공연

공연 현재/다음공연
생추어리 시티 Sanctuary City
연극

생추어리 시티 Sanctuary City

두산인문극장 2025: 지역 LOCAL

2025.04.22 ~ 2025.05.10Space111
* 패키지티켓 선예매: 3.25(화) 오후 4시
* 장애인 관객 선예매: 3.26(수) 오후 4시
* 일반 예매: 3.27(목) 오후 4시


화수목금 7시 30분 / 토일 3시
* 5.6(화) 3시

정가 35,000원

13세 이상 관람가 (2012년생 포함 이전 출생자 관람 가능)

100분(예정)

접근성 사항
한글자막해설/음성소개/휠체어석/안내보행/문자소통: 전체 회차
수어통역: 4.26(토), 5.2(금), 5.3(토)
음성해설/터치투어: 5.8(목), 5.9(금), 5.10(토)
* 안내보행과 터치투어는 접근성 매니저를 통해 사전 신청 부탁드립니다

관객과의 대화 - 수어 및 문자 통역 진행
1) 4.26(토) 3시 공연 종료 후
이오진(연출가), 유은주(번역가), 진행 신가은(프로듀서)
2) 5.3(토) 3시 공연 종료 후
이오진(연출가), 이주영, 김의태, 아마르볼드(배우), 진행 신가은(프로듀서)

실황 영상 촬영
4.24(목) 7시 30분 공연
해당 일시에 공연 실황 영상 촬영이 진행됩니다
공연 관람 및 예매 시 참고 부탁드립니다

예매 가능 시간: 공연 시작 2시간 전까지

문의 : 두산아트센터 02-708-5001 / 접근성 매니저 010-7285-2024

생추어리 시티 Sanctuary City

<생추어리 시티>는 미국 극작가 마티나 마이옥의 작품으로 2023년 오비 어워드 극작 부문을 수상했다. ‘생추어리(Sanctuary)’는 안식처, 보호구역을 의미하며 '생추어리 시티(Sanctuary City)'는 미국 내 미등록 이민자에게 우호적인 지역을 일컫는 일종의 은어이다. 작품은 이민자로서의 삶, 흔들리는 성정체성, 불법 체류의 위험 등 다양한 불안 속에서 젊은이들이 겪는 사랑과 우정, 꿈과 현실 사이의 갈등과 방황을 다룬다. 살고 있으나 속해 있지 않은 지역에서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으려 분투하는 인물들을 통해 인간이 인간답게 존재할 수 있는 생추어리 시티가 무엇일지 질문을 던진다.

 


“내가 어디에서 태어났건 내 삶은 여기서부터야”

 

 


시놉시스 
어린 시절 미국으로 건너와 서로가 유일한 안식처가 된 두 십대, B와 G. 
엄마의 귀화로 미국 시민권을 획득하게 된 G는 B가 미국에 합법적으로 머물 수 있도록 '결혼'을 계획한다.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이 계획은 그들 사이에 균열을 일으키고 가장 가까웠던 서로의 관계를 위협한다.

 

 


“꿈을 향한 문이 닫히다. 마티나 마이옥의 가차없는, 감상에 매몰되지 않은 작품”
"두 십대 청소년, 두 미등록 이민자, 보답받지 못한 두 가지 형태의 사랑"
-뉴욕타임즈-

 

 

 


작 마티나 마이옥(Martyna Majok)
연극  < Sanctuary City >  < Queens > < Cost of Living > < Ironbound >


수상
2023 오비상 극작 부문 < Sanctuary City > < Queens > < Cost of Living > < Ironbound >
2022 오프 브로드웨이 얼라이언스상 최우수 연극상 < Sanctuary City >
2019 수잔 스미스 블랙번상 최종 후보작 < Sanctuary City >
2018 퓰리처상 드라마 부문 < Cost of Living > 외

 

 

 

 


 

연출 이오진

호랑이기운 작∙연출가


작∙연출

<청년부에 미친 혜인이>


윤색∙연출
<댄스 네이션>


연출
<아침에 한 번에 일어날 수 있어요?> <성공적인 직업생활> <애 개 아파트> <피어리스: 더 하이스쿨 맥베스> 외



<김이박이 고등학교에 입학할 때 김이박이 고등학교에 입학한다> <우리는 적당히 가까워> 외


수상·선정
2023 두산연강예술상 공연 예술부문
2023 한국연극 선정 공연 베스트 7 <댄스 네이션>
2023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선정 올해의 연극 베스트 3 <댄스 네이션>
2022 한국연극 선정 공연 베스트 7 <콜타임>
2016 대산창작기금 수혜

 

 

 

출연

 

 

이주영

G 역


영화 <춘몽> <꿈의 제인> <메기> <야구소녀> <브로커>
드라마  < MBC 역도요정 김복주 > < JTBC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 > < JTBC 이태원 클라쓰 > < OCN 타임즈 > 
외 


수상
2022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영화부문 최우수연기상 <브로커>
2020 뉴욕아시안영화제 국제 라이징 스타상 <야구소녀>
2019 서울독립영화제 독립스타상 <야구소녀>
2018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배우상 <메기>

 

 

 

 

김의태

B 역

 


연극 <애도의 방식> <연어> <불장난> <머핀과 치와와> <변심> <올가의방> <사,육> <산란기> <우리는 적당히 가까워> 외
영화 <사라> <막내가 서른이야> <반신불수가족> 외

 

 

 

 

아마르볼드

헨리 역

 

연극 <제일 가까운 장애인 화장실이 어디죠?>
드라마 <스틸러 : 일곱 개의 조선통보> <신의 구슬> < SUITS >

 

 

 


기획제작 두산아트센터
마티나 마이옥(Martyna Majok)
번역 유은주
윤색 유은주 이오진
연출 이오진
출연 이주영 김의태 아마르볼드
조연출 김성령
프로덕션 무대감독 이지혜


무대디자인 송지인
조명디자인 신동선
음악/음향디자인 지미 세르
의상디자인/제작 EK EKCOSTUME
의상팀 최새봄 강소랑
분장디자인 정지윤
소품디자인/제작 이송이
액팅코치 및 자문 윤소희
작품 자문 이진아


접근성 기획/운영 플랫폼 안녕
접근성 매니저 이청
한글자막해설 디자인 이수림
한글자막해설 오퍼레이터 성다인
수어번역 이래봄
수어통역 지혜원 우지양
수어감수 조희경
수어자막 오퍼레이터 곽지수
현장 수어통역 윤하원
터치투어 제작/운영 이청
음성해설 대본 구지수 김내원 김혜영
음성해설 배우 장호인

 

*SANCTUARY CITY had its World Premiere at New York Theatre Workshop, Jim Nicola, Artistic Director, Jeremy Blocker, Managing Director, 2020
*SANCTUARY CITY was developed, in part, at the 2018 Sundance Institute Theatre Lab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