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20세기 블루스 20th Century Blues
<20세기 블루스>는 미국 극작가 수잔 밀러의 작품으로 60대에 진입한 여성 4명을 통해 나이 듦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작품은 2016년 미국 초연 당시, 날카로운 관찰력으로 존재를 부정당하는 여성들을 섬세하게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나이가 든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되돌아보는 동시에, 사회에서 규정한 노인의 역할과 그들을 대하는 우리의 인식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시놉시스
유명 사진작가인 60대 여성 대니는 뉴욕현대미술관(MoMA) 개인 회고전을 앞두고 있다. 자신의 지난 작업을 가장 잘 표현할 사진은 무엇일까? 대니는 젊은 시절 구치소에서 만난 친구들과 매년 한 번씩 만나 사진을 남겼다. 40년간 꾸준히 촬영한 친구들의 사진을 이번 회고전에 전시하기로 마음을 먹는다. 하지만 대니의 바람과 달리 친구들은 쉽게 동의하지 않는다.
제공사항
전 회차: 한글자막, 음성해설, 음성소개, 무대 모형 터치투어(오디오 가이드 포함) 휠체어석, 안내보행, 문자소통
작 수잔 밀러 Susan Miller
연극 ‘20th Century Blues’ ‘Census’ ‘My Left Breast’ ‘Nasty Rumors and Final Remarks’ 외
수상
2010 미국 작가 조합상 ‘Anyone But Me’
1995 영국 수잔 스미스 블랙번상 ‘My Left Breast’
1994 영국 오비 어워즈 ‘My Left Breast’
1980 영국 오비 어워즈 ‘Nasty Rumors and Final Remarks’ 외
윤색/연출 부새롬
달나라동백꽃
연출 <달콤한 노래> <보이지 않는 손> <마우스피스> <햄릿> <썬샤인의 전사들> <그 개> <2센치 낮은 계단> <로풍찬 유랑극장> <검은 입김의 신> <아이엠파인투> <뺑뺑뺑> <파인땡큐앤드유> <뻘>
<달나라 연속극> <찌질이 신파극> 외
수상
2021 계간 공연과 이론 선정 ‘작품상’ <달콤한 노래>
2016 월간 한국연극 선정 ‘공연 베스트 7’ <썬샤인의 전사들>
2013 서울연극제 젊은연극인상(공동수상)
기획제작. 두산아트센터
작. 수잔 밀러 Susan Miller
번역. 최유솔
윤색/연출. 부새롬
출연. 이주실 박명신 강명주 성여진 이지현 우미화 류원준
두산인문극장 2023
Age, Age, Age 나이, 세대, 시대
‘두산인문극장’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과학적, 인문학적, 예술적 상상력이 만나는 자리다.
매년 주제를 정하여 그와 관련한 공연, 전시, 강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야기한다. 두산인문극장은 2013년 빅 히스토리를 시작으로 불신시대, 예외, 모험, 갈등, 이타주의자, 아파트, 푸드, 공정을 주제로 했다. 2023년 10회를 맞은 두산인문극장 주제는 ‘Age, Age, Age 나이, 세대, 시대’다.
4월 3일부터 7월 15일까지 공연 3편, 전시 1편, 강연 8회를 진행한다.
Age, Age, Age 나이, 세대, 시대
코로나19는 나이 든 이들에게 더 가혹했다. 젊은 사람들에 비해 노인들에게 치명률이 더 높았고, 이로 인해 돌봄으로부터 더 멀어지는 고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 고립은 육체적 분리뿐 아니라 정신적인 소외까지 의미한다. 코로나19가 노년이라는 나이에 대해 환기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사회의 노령화는 일찌감치 제기되어 오던 문제다. 평균수명의 증가와 출생률의 감소는 자연스럽게 사회의 노령화로 이어진다. 이로 인해 우리는 나이 들어가고 있음을 상대적으로 더 길고 천천히 겪어가는 경험을 새롭게 하게 되었다. 아무도 시간을 거스르지 못하고 죽음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은 그대로인 채로 맞이하게 될 이 새로운 경험은 우리에게 기쁨이 될 것인가, 슬픔이 될 것인가?
이러한 변화들은 기존의 법칙에 균열을 내고 있다. 기존의 균형과 조화가 분열과 충돌로 바뀌는 것처럼 보인다. 나이 든 사람들의 지혜가 공동체에 보탬이 되고, 이들의 돌봄이 후손들의 번성을 돕는다는 전통적인 생각이 더 이상 유효해 보이지 않는다. 노인과 청년 간의 세대갈등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아주 오랜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나이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사회적인 차원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나이'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제기된다. 나이를 이해해야 그것을 바탕으로 합의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의 삶에서 나이는 계속해서 화두다. 어떤 시기는 나이 듦을 기다리고 어떤 시기는 도망치고 싶다. 나이는 시간이라는 객관적인 기준과 경험이라는 주관적인 기준이 더해지는 탓에 복잡할 수밖에 없다. 그런 의미에서 ‘나이’는 ‘노화’와 ‘세대’로 이어지고, ‘인구’, ‘돌봄’, ‘테크놀로지’로 확장된다. 그 테두리에 ‘갈등’과 ‘사회문제’가 놓일 수밖에 없다. 두산인문극장 2023은 이런 키워드를 통해 나이를 생각하며 지혜를 모색하고자 한다. 그 지혜는 서로 다른 나이의 이들이 서로 손을 잡는 것, 한 사람의 일생에 펼쳐진 매년의 나이를 일련의 호흡으로 어루만지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두산아트센터 기획 시리즈
두산인문극장 2022: 공정
<당선자 없음><웰킨><편입생> 외 전시 1편, 강연 8회
두산인문극장 2020: 푸드
<1인용 식탁><궁극의 맛><식사 食事> 외 강연 8회
두산인문극장 2019: 아파트
<철가방추적작전><녹천에는 똥이 많다><포스트 아파트 Post APT> 외 전시 1편, 강연 8회
두산인문극장 2018: 이타주의자
<낫심><피와 씨앗><애도하는 사람> 외 전시 1편, 강연 8회
두산인문극장 2017: 갈등
<조상님께 바치는 댄스><목란언니><죽음과 소녀><생각은 자유> 외 전시 1편, 강연 10회, 영화 3편
두산인문극장 2016: 모험
<멜리에스 일루션-에피소드><게임><인터넷 이즈 씨리어스 비즈니스> 외 전시 1편, 강연 13회, 영화 3편
두산인문극장 2015: 예외(例外)
<구름을 타고><차이메리카><히키코모리 밖으로 나왔어> 외 전시 1편, 강연 9회, 영화 3편
두산인문극장 2014: 불신시대
<베키쇼><엔론><배수의 고도> 외 전시 1편, 강연 9회, 영화 3편
두산인문극장 2013: 빅 히스토리: 빅뱅에서 빅데이터까지
<현위치><우리는 죽게 될 거야><서울연습-모델,하우스><나는 나의 아내다>외 전시 1편, 강연 9회, 영화 2편
경계인 시리즈 2011-2012
<디 오써><백년, 바람의 동료들><목란언니><카메라를 봐주시겠습니까?>
인인인 시리즈 2010
<코뿔소의 사랑><잠 못드는 밤은 없다><인어도시>
과학연극 시리즈 2009
<과학하는마음 3_발칸동물원 편><산소><코펜하겐><하얀앵두>
|
두산인문극장 2023: Age, Age, Age 나이, 세대, 시대
공연 @두산아트센터 Space111
일정
|
제목
|
작가 / 연출가
|
5.2-5.20
|
[연극] 댄스 네이션
|
작. 클레어 배런 Clare Barron, 번역. 함유선
윤색/연출. 이오진, 안무. 이소영
|
5.30-6.17
|
[연극] 20세기 블루스
|
작. 수잔 밀러 Susan Miller, 번역. 최유솔
윤색/연출. 부새롬
|
6.27-7.15
|
[연극] 너의 왼손이 나의 왼손과 그의 왼손을 잡을 때
|
작/연출. 정진새
희곡개발리서치. 백종관, Kayip
|
전시 @두산갤러리
일정
|
제목
|
작가
|
4.19-5.20
|
[전시] 눈은 멀고
|
구나 장서영 전명은
|
강연 @두산아트센터 연강홀
일정
|
제 목
|
강연자
|
4.3(월)
|
[강연] 나이와 자아 정체성
|
엄정식 (서강대 철학과 명예교수)
|
4.10(월)
|
[강연] 가장 큰 걱정: 먹고 늙는 것의 과학
|
류형돈 (뉴욕대 의대 교수)
|
4.17(월)
|
[강연] 인구변화가 가져올 사회경제적 불균형: 전망과 대응
|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
4.24(월)
|
[강연] 세대갈등과 세대 간 소통
|
신진욱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
6.19(월)
|
[강연] 갓생살기를 위한 삶 디자인 전략
|
정희원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의사)
|
6.26(월)
|
[강연] 노인과 로봇
|
신희선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연구원)
|
7.3(월)
|
[강연] 돌봄의 끝, 삶의 시작
|
백영경 (제주대 사회학과 교수)
|
7.10(월)
|
[강연] 적정한 삶: 균형잡힌 삶이 역량이 되는 시대
|
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
예약 정보
예약: 두산아트센터 홈페이지 www.doosanartcenter.com (무료회원가입, 수수료없음)
공연: 유료, 정가 35,000원, 두산아트센터 회원 28,000원
20대 티켓/공연예술인 17,500원, 10대 티켓/60대이상 티켓/국가유공자/장애인 10,000원
배리어 프리 매니저 0502-1920-1270 (문자, 전화 문의)
전시: 무료, 별도 예약없이 관람 가능
강연: 무료, 선착순 사전 마감
*공연, 전시, 강연 모든 장소에 휠체어 이
유의사항
- 예매티켓 수령 및 현장구매는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 공연장 내에서는 휴대폰 전원을 꺼주시기 바랍니다.
- 공연 시작 후에는 객석 입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공연장 내에서는 꽃다발 증정,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음식물 반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주차장 이용 안내
이용시간: 오전 6시 ~ 오후 11시
주차공간: 지하 2층 ~ 지하 5층, 150여대
주차요금: 당일 관람 고객에 한해 4시간 5,000원 주차 할인권 제공, 4시간 초과 시 10분당 1,000원
티켓 예매자는 본 안내 페이지의 모든 내용을 숙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취소 수수료
두산아트센터에서 예매 시, 취소일자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취소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예매일 기준보다 관람일 기준이 우선 적용됩니다.
단, 예매 당일 밤 12시 이전 취소 시에는 취소수수료가 없으며, 예매수수료도 환불됩니다.(취소기한 내에 한함)
취소일 |
취소 수수료 |
공연일 10일 전까지 |
없음 |
공연 3일전까지 예매 후 24시간 이내 취소시 |
없음 |
공연일 9일전~1일전까지 |
10% 공제 후 환급 |
공연당일 공연시작 전까지 |
90% 공제 후 환급 |
환불 및 변경
- 예매 변경을 원할 경우, 예매티켓 취소 후 재예매(취소 시, 두산아트센터 환불수수료 적용)
- 입장권 환불은 티켓 예매시 선택한 결제수단으로만 환불 가능
예) 신용카드로 예매한 경우 : 카드로 환불 가능, 가상계좌로 예매한 경우 : 환불일로부터 7~15일이내 고객 지정계좌로 이체 수수료 제외 후 환불
- 두산아트센터 티켓 이외의 외부 예매처나 공연기획사에서 예매한 티켓은 직접 예매한 곳으로 환불 및 변경 절차 문의
- 초대권 환불 불가
- 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시, 환불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