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7기
2022.06.24 ~ 2022.08.24두산아트센터 연습실(수업), Space111(발표)
두산아트스쿨: 창작 워크숍 7기
2022.6.24~8.24
연기∙제작 워크숍: 성수연 배우 6.24~7.26
희곡 워크숍: 진주 극작가 6.27~7.28
연기∙연출 워크숍: 김정 연출가 7.20~8.24
연기∙연출 워크숍 참가자 확인>>
워크숍 소개
① 연기∙제작 워크숍: 성수연 배우
6. 24(금)~7. 26(화) 매주 화, 금요일 10시~13시
*연기 관련 전공자(휴학/졸업생 포함) 또는 연기 유경험자(학교 동아리 공연 포함, 2편 이상)에 한해 지원 가능
*수업시간 외 유동적으로 팀원들과 작업 스케줄을 조율, 추가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분
② 희곡 워크숍: 진주 극작가
6. 27(월)~7. 28(목) 매주 월, 목요일 오후 2시~5시
*전공 무관
③ 연기∙연출 워크숍: 김정 연출가
7. 20(수)~8. 24(수) 매주 수, 토요일 오후 2시~5시 (*단, 7. 27(수) 수업 없음)
*연기/연출 관련 전공자(휴학/졸업생 포함) 또는 연기/연출 유경험자(학교 동아리 공연 포함, 2편 이상)에 한해 지원 가능
*수업시간 외 유동적으로 팀원들과 작업 스케줄을 조율, 추가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분
세부 일정표
- 수업 일정
아래 일정표 참고 (연기∙제작 수업: 10~13시, 희곡/연기∙연출 수업: 14~17시)
- 발표회 일정
연기∙제작 (7. 26 화 1~6시), 희곡 (7. 28 목 1~6시), 연기∙연출 (8. 24 수 1~6시)
* 세부 일정, 장소는 변경될 수 있음
주최: ㈜두산
주관: 두산연강재단, 두산아트센터, 한국메세나협회
지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연기∙제작 워크숍
배우가 주체가 되어 만드는 공동창작 프로덕션을 경험합니다.
창작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경험하며 한 편의 공연을 완성합니다.
① 공동창작의 이해, 공동창작 과정 안에서의 다양한 역할 알기
② 공동창작을 위한 개인 작업 만들기 (1인극장) 1
③ 공동창작을 위한 개인 작업 만들기 (1인극장) 2
④ 함께 작업하기 위한 준비: 팀 편성, 팀내 약속 및 역할 정하기
⑤ 함께 작업하기 1: 테마에 대한 공통의 관점 찾기, 작업의 방향성 정하기
⑥ 함께 작업하기 2: 다양한 표현 방법
⑦ 공연 형식 만들기 1: 장면 배치
⑧ 공연 형식 만들기 2: 팀별 장면 발표 및 피드백
⑨ 최종 리허설
⑩ 극장 리허설 & 발표 및 합평
*참고 도서
<문체 연습>(레몽 크노), <뉴다큐멘터리 연극>(남지수)
성수연 배우
연극
<로드킬 인 더 씨어터><우리는 농담이(아니)야><제4의 벽><액트리스 투: 악역전문로봇><액트리스 원: 국민로봇배우 1호>
<로테르담><소리의 뼈><러브 스토리><이번 생에 페미니스트는 글렀어><워킹 홀리데이><개인의 책임><비포 애프터><몇 가지 방식의 대화들> 외
수상
2019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젊은연극상’ <액트리스 원: 국민로봇배우 1호>
2015 동아연극상 ‘유인촌신인연기상’ <비포 애프터>
희곡 워크숍
<혼자 쓰면 외로워서>
다양한 실습을 하고, 소소하게 희곡 한 편을 완성해 봅니다.
우리의 목표는 같이 쓰고, 같이 읽고, 같이 듣기!
① 프로젝트 계획, 주제 선정과 리서치
② 주제, 갈등, 인물에 대하여
③ 배경과 플롯에 대하여
④ 정보 다루기의 의미
⑤ 무대화의 주요 과제: 설명할 것인가 보여줄 것인가
⑥ 갈등과 욕망 표현하기
⑦ 개별 프로젝트 진행 과정 공유 및 상호 피드백 1
⑧ 개별 프로젝트 진행 과정 공유 및 상호 피드백 2
⑨ 개별 프로젝트 진행 과정 공유 및 상호 피드백 3
⑩ 낭독회 및 합평
진주 극작가
공연
작 <배소고지 이야기: 기억의 연못> <정동구락부: 손탁호텔의 사람들> <무지개섬 이야기>
공동창작 <이것은 실존과 생존과 이기에 대한 이야기> <우리는 처음 만났거나 너무 오래 알았다>
각색 <마음의 범죄> <궁극의 맛>
작/연출 <검은늑대>
수상
2020 강원도립극단 강원도 소재 시놉시스 공모전 우수상 <규방>
2015 한국극작가협회·아시테지코리아 아동창작희곡상 <무지개섬이야기>
연기∙연출 워크숍
<연극 구경하기>
무대에서 무엇을 보여주고 싶은지, 그로부터 출발해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찾아가봅니다.
배우와 연출이 함께 소규모 프러덕션을 운영하며, 공연을 완성합니다.
① 내가 생각하는 연극이란, 무대란 무엇일까?
② 첫 날 나눈 이야기 속에서 떠오른 텍스트 가져오기
③ 무대 위 기본적인 움직임의 원리 알기
④ 팀 나누기, 작업의 방향 정하기
⑤ 팀별로 창작해보기
⑥ 중간 발표-망작 콘테스트: 누가누가 크게 망했나, 과감성에 집중하고 박수치고 격려하기
⑦ 관객 만날 준비 1: 과감성과 도발 그리고 대중성 사이에서 고뇌하는 예술가가 되어보기
⑧ 관객 만날 준비 2: 다듬고 정리해 공연의 형태를 만들기
⑨ 최종 리허설 및 피드백
⑩ 극장 리허설 & 발표 및 합평
김정 연출가
공연
연출 <태양> <처의 감각> <손님들> <순진한햄릿> <광장의 왕> <꿈> <베르나르다 알바의 집>
공동연출 <임영준햄릿>
수상
2017 제54회 동아연극상 신인연출상 <손님들>
2017 이데일리 문화대상 대상